올바른 공공언어 사용하기 7 (제고하기 위해 vs 높이기 위해)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하기어려운 한자어를 피하고 쉬운 우리말 표현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1. 제고하기 위해→높이기 위해 제고(提高)란 뜻은 "쳐들어 높임"이란 말 "제고(提高)하다"는 "높이다" 라는 쉬운 우리말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사용 예[예 1] 우리 부는 앞으로 보훈 정책 수립과 집행 과정에서 국민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제고하기 위해→높이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예 2] 이날 행사는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와 양성평등 촉진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를 제고하기 위해→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예 3] 고객 가치 제고하기 위해→높이기 위해 영업 네트워크 소통 강화 [예 4] 대한민국의 젠더 감수성을 제고하기 위해→높이기 위해 용기 내어 토크의 문을 열다. [예 5] 교사.. 공무원자료/공공언어사용 2017. 8. 30. 05:11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하기(지체 없이 vs 바로)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하기 세번째 편입니다. 오늘은 공공언어 중 많이 쓰이고 있는 "지체 없이"입니다. 어렵고 상투적인 한자 표현을 피하고 쉬운표현을 쓰는것이 좋습니다. 지체 없이 → 바로 / 곧바로 지체(遲滯)는 때를 늦추거나 질질 끈다는 뜻의 한자어입니다. "지체 없이"보다는 "바로"나 "곧바로"가 더 쉬운말입니다. [예 1] 이를 지체 없이→바로/곧바로 인사과로 통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 2] 의사나 한의사는 감염자가 발생하면 소속 의료 기관의 장을 통해 보건소장에게 지체 없이→바로/곧바로 신고해야 한다. [예 3] 법과 제도의 개선은 입법 과제로 추진하되 우선적으로 개혁 적임자들로 하여금 지체 없이→바로/곧바로 추진해야 한다"지체 없의"의 법률적의미 공감클릭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공무원자료/공공언어사용 2017. 8. 12.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