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 지방직간 인사교류 시 강임 등 공무원의 강임제도 알아보기 강임은 공무원 조직이 축소 또는 폐지되는 경우 상위직급 자리가 줄었을 때 발생을 합니다. 그리고 국가직에서 지방직으로 또는 지방직에서 국가직으로 전입하는 경우 본인동의하에 하위직급으로 강임을 하는 경우에도 많이 발생합니다. 보통 후자의 경우로 강임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같은 강임이라도 두가지 경우 승진 및 보수 등에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공무원의 강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강임이란같은 직렬 내에서 하위 직급에 임명하거나 하위 직급이 없어 다른 직렬의 하위 직급에 임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유사한 말인 "강등" 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강등은 공무원의 징계처분입니다. 헷갈려 하시는 분들도 있네요. ▼ 제도목적 직제 또는 정원의 변경이나 예산의 감소 등으로 직위가 폐직되거나 강등되어 과원.. 공무원정보/공무원복무 2018. 9. 24. 14:47
국가직공무원 강임후 전입시 상시학습 이수관련 문의 국가직공무원 강임후 전입시 상시학습 이수관련 문의 1. 질의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국가직 7급에서 강임후 지방직 8급으로 경력경쟁임용된 직원에 대한 상시학습 문의입니다. 1. 국가직 8급 경력 10년, 국가직 7급의 경력이 8년 있는 직원이 국가기관에서 강임후 8급으로 우리군에 경력경쟁임용이 되었습니다. 이경우 상시학습 인정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지침을 보면 "국가공무원에서 지방공무원으로 특별채용된 자의 경우 종전 근무기관 또는 종전 직렬의 동일계급에서 이수한 교육훈련 시간은 현 근무 기관에서 이수한 시간과 합산하여 반영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1설)강임후 8급 경력경쟁임용자로 종전 근무기관인 국가기관에서 동일계급의 8급에서 이수한 교육훈련 시간은 현재 기관의 이수한 시간과 .. 질의사례/행정분야 2016. 6. 17. 00:08